본문 바로가기
728x90

✎ STUDY/#5 웹기획41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기획자의 직무 이해하기 1. PO와 PMProduct(제품)기업이 생산하는 모든 산출물 ‘IT 기업에서 생산하는 모든 제품을 의미하며, 앱·웹·시스템 등’을 뜻한다.  즉, IT 서비스 한 덩어리를 총칭하는 것 ① 상품(또는 비즈니스)의 영역 영업의 성격에 따라 각각의 Product라고 말할 수 있다.  Vertical Product: 한 기능만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Horizontal Product: 네이버와 쿠팡, 토스와 같이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제공하거나 여러 서비스를 한꺼번에 제공하는 서비스 ② Product를 기능 단위로 구분 기능에 따라 Product를 구분: 검색, 주문, 장바구니, 결제 등 업무 내용에 따른 PO vs PM PO :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일의 우선순.. 2025. 2. 25.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기획자가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개발지식 1. 기획자는 설계도를 그리는 사람이다.서비스 기획자와 개발 서비스 기획자는 전략기획(시장분석, 경쟁사분석, 자사분석)을 통해 도출된 비즈니스의 방향을 토대로 설정된 ‘고객’을 심층분석하는 사람이다. 기획자의 첫 번째 미션은 고객의 니즈를 분석해 가장 사용하기 좋은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기획자가 서비스 개발을 위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화면을 구성하고, 각 화면의 동작과 전환을 확인하는 동시에 서비스의 정책요소 등을 포함하는 문서를 ‘스토리보드’라고 한다. 스토리보드는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참고하는 최종 문서로, 이게 없으면 업무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처럼 비즈니스 전략을 현실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기 때문에 기획자는 멀티 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이때 멀티 플레이어 기획자가 되는 첫걸음은 개발을.. 2025. 2. 25.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기획 VS 마케팅 기획 1. 마케팅 기획과 서비스 기획의 차이 고객을 사랑하지만 표현방식이 다르다.비즈니스 기획마케팅 기획서비스 기획비즈니스(수익) 모델을 구축하고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한 목적 고객에게 필요한 제품 및 브랜드의 메시지를 최적의 채널에 배포하는 전략IT기술을 활용해 고객의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앱/웹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기획  [경영학도에게 가장 특화된 비즈니스 기획] 시장조사, SWOT분석, 3C분석[디지털 마케팅 시대에서의 핵심은 결구 채널]마케팅의 4요소인 제품, 가격, 장소, 판촉을 결정하는 것 고객군을 발굴해이들이 이용하는 주된채널에 적합한 콘텐츠를 공급하기 위한 전략 설계 [우리가 생각하는 서비스 기획의 범위는 넓다] 우리가 주로 쓰는 웹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닌 은행 공동전.. 2025. 2. 25.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 VS 비즈니스 기획 1.비즈니스 기획에 대한 이해가 먼저다 비즈니스 기획이란? 소비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지 결정하고, 가치 제공의 대가로 얻는 수익을 통해 더 큰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즉, 고객의 문제와 니즈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가치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실제 제품 및 서비스로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비즈니스 기획의 세부활동에는 경쟁사 조사, 타깃 분석, 수익모델 수립 등이 포함된다. 서비스 기획자가 비즈니스 기획을 알아야 하는 이유 비즈니스 기획을 통해 기업이 나아갈 방향(HOW)을 정했다면, 서비스 기획은 그 실체(WHAT)를 설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보면 된다. 2. 비즈니스 기획의 필수 요소서비스 기획자는 비즈니스 기획의 핵.. 2025. 2. 24.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자의 조건 기획의 정의 문제가 되는 상황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그것이 진짜 문제인지 ‘데이터’와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중복과 누락 없이 문제를 분석하는 원칙)’와 같은 문제해결 기법으로 판별해 내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만들어 가는 과정  ‘기획을 잘한다’는 것은 남들보다 탁월한 결과물을 내는 걸까? 아니면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을 찾는 것일까?  1. 기획을 잘한다는 것은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을 찾는 것 문제의 정의가 잘못되면 아무리 해결책이 좋아도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기획을 잘하는 사람들은 문제를 정의하고 본질을 찾는 과정에 3/4 이상을 투자한다. 2. 기획은 끊임없이 문제를 찾아가는 과정문제의 본질을 찾고 정의를 .. 2025. 2. 23.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자? 1. 서비스 기획자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요? 서비스 기획자? 비즈니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기술에 기반한 제품 설계를 하는 사람이자 그 제품의 설계를 위해 범위를 정하고 서비스를 구현되는데 필요한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사람 서비스 기획자 3가지 키워드 - 비즈니스 - IT기술 - 스토리보드 2. 서비스 기획자에게 어울리는 전공과 성향? 서비스 기획자에 국한된 전공이나 이런 사람만이 서비스 기획자가 될 수 있다는 기준은 사실 없다. 다만 선호되는 성향은 있을 수 있다. 우선 디자인(산업디자인, 시각디자인)이나 컴퓨터공학(개발), 또는 경영학(관련 융합전공 포함)을 전공했다면 서비스 기획 업무를 하는데 수월할 수 있다. 그리고 굳이 어울리지 않는 사람을 꼽으라면 성격적인 측면에서.. 2025. 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