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STUDY/#5 웹기획28 한국 IT 기획 컨퍼런스 :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획자의 사고와 습관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획자의 사고와 습관 플랫폼(Platform)이란?인간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교류의 정류장 역할 교류 속에 이뤄지는 다양한 소통,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트래픽을 기준으로 기업과 개인이 공동의 이익을 형성하는 곳 기획자의 역할은 표면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하나의 완성본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플랫폼의 진화 플랫폼은 Device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관계/수단▶개인화▶프로세스화수단의 강화서비스 강화Life Style 강화정보의 소유정보의 교류(Big Data)의 출현Big Data의 응용AI (Machine learning & Deep learning) 이제 터치중심의 선택이 필요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 (정보를 저장하여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지를 좁혀줘서 빠르게 의사결정.. 2025. 4. 7. 한국 IT 기획 컨퍼런스 : 성공하는 기획자의 3가지 조건 한국 IT 기획 컨퍼런스 : 성공하는 기획자의 3가지 조건1. 전략기획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Insight를 발굴하고 주요 페이지 UI를 전략적으로 잡아가는 능력 전략기획은 리서치를 동반하고, 사람들을 많이 만나야한다. 프로토타입을 통해 인사이트를 전달 전략기획에 중요한것은 인사이트다. 기획자마다 뽑아내는 인사이트가 다를수 있다. 그래서 통찰력을 길러야한다. 2. 구축기획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자원으로 약속된 기능을 설계하는 능력 발견된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해서 정해진 자원으로 약속된 기능을 만들어야한다. 3. 운영기획중장기적 목적을 바라보면서 한발자국씩 목표점에 다가가는 능력 만들어진 구축된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개선, 추가매출 늘리는 작업 운영기획은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 2025. 4. 4.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의 실체를 알기 위한 앱 분석 방법 서비스 분석(앱 분석)우리가 서비스를 분석해야 하는 이유[성공하는 서비스의 비결]- 고객을 면밀히 연구 - 타깃 고객의 심층분석과 이해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서비스 고도화를 이루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 - 해당 제품들만의 사용자를 끌어당기기 위한 나름의 기준을 수립 • 디자인과 개발과정에서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UX 라이팅 포인트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그게 왜 좋은 것이고, 기준과 근거는 무엇으로 말할 수 있을까?• 어떤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걸까?• 경쟁 앱들과는 어떻게 분석을 해야 할까?• 우리는 언제 ‘최상’의 컨디션을 가진 서비스라고 말할 수 있을까? 서비스 분석, 어떻게 시작할까?서비스 분석 ① 탑다운 방식 ▼산업분석비즈니스 .. 2025. 3. 25.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기획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분석법 1. 기획자의 필수 덕목,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 만능주의를 경계하라서비스 기획에서 데이터는 사용자를 이해하는 도구이다. 데이터를 분석해 서비스 출시의 근거를 마련하고, 이미 출시된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고객 경험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따라서 기획자는 서비스를 만드는 처음부터 어떤 데이터를 쌓아야 할지 미리 설계해야 한다.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를 읽고 이해하며 분석적·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 데이터 리터러시의 역량을 요구하는 이유는 기획자의 주관이 아닌 사용자의 생각과 행동에 맞춰 서비스를 기획하기 위함이다. 즉, 특정인의 주관에 편향되지 않고 의사결정의 객관성을 확보해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필수 역량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데이터 리터러시를 오인해 ‘.. 2025. 3. 1.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워터폴 Waterfall 과 애자일 Agile 워터폴 방식 워터폴 방식은 대규모 데이터를 연동하는 B2B 서비스, 금융플랫폼이나 운영체제(OS)와 같이 한 번에 완제품을 출시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적용한다. 워터폴 단계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디자인 및 개발 – 최종 검수 워터폴 방식의 장점 빠른 작업 속도기술적인 위험요소가 적음개발 기한이 정해진 프로젝트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개발방법론워터폴 방식의 단점바로 고객과의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굉장히 어렵다.개발이 되기 전까지 서비스가 실제로 작동하는 모습을 볼 수 없어 수정 요청은 개발 완료 이후 시점에야 가능하다.워터폴 방식은 앞 단계의 업무가 종료되기 전까지는 다음 단계의 작업을 할 수 없어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애자일애자일은 워터폴보다 마감주기가 짧고 그 주기가 반복된다... 2025. 3. 1.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기획자의 직무 이해하기 1. PO와 PMProduct(제품)기업이 생산하는 모든 산출물 ‘IT 기업에서 생산하는 모든 제품을 의미하며, 앱·웹·시스템 등’을 뜻한다. 즉, IT 서비스 한 덩어리를 총칭하는 것 ① 상품(또는 비즈니스)의 영역 영업의 성격에 따라 각각의 Product라고 말할 수 있다. Vertical Product: 한 기능만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Horizontal Product: 네이버와 쿠팡, 토스와 같이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제공하거나 여러 서비스를 한꺼번에 제공하는 서비스 ② Product를 기능 단위로 구분 기능에 따라 Product를 구분: 검색, 주문, 장바구니, 결제 등 업무 내용에 따른 PO vs PM PO :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일의 우선순.. 2025. 2. 25.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