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 STUDY/#5 웹기획46

[스파르타코딩클럽] 현황 분석은 어떻게 해야할까? 현황 분석은 어떻게 해야할까?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현황 분석 - 문제 정의 - 가설 설정 - 가설 검증 - 솔루션 도출 - 제안사실 현황 분석은 그 무엇보다 가장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 그래야 문제를 찾아낼 수 있다. 💡 현황 분석 을 위해 가장 먼저 찾아봐야 하는 데이터VoC앱 리뷰CS 인입 현황심층 인터뷰사내에 정리된 Voc 요약본사내 데이터매출 (GMV, AOV, AOF, Contribution Margin, 성장률 등)고객 (DAU, WAU, MAU, traffic, CPA, 퍼널별 행동 흐름, 체류 시간, NPS 등)제품 (retention, 주문 성공률, 주문 실패율, 구매 이탈 등)외부 데이터논문뉴스 기사통계자료전문가 의견설문 조사> 이런 데이터 수집을 통해 우리 서비스를 고객이 왜 .. 2025. 8. 22.
[스파르타코딩클럽] 문제 해결 과정 설명 및 예시 문제 해결 과정💡 문제 정의를 했다면 이제 가설을 세워 검증하는 방식을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내야한다. 이것을 지속하면서 고객의 니즈에 맞춘 더 나은 제품으로 개발해나가야 한다. ⬇️⬅️⬅️⬅️⬅️⬅️⬆️문제 정의➡️가설➡️검증➡️솔루션➡️문제 정의 [ 문제 정의 ]내부 지표타사 리서치각 종 데이터 확인[ 가설 설정 ]앞 단에서 찾은 데이터 연구방안 수립[ 검증 ]가설 확인데이터 검증[ 솔루션 ]해결 방안 도출[ 문제 정의 ]솔루션 도출 이후의 데이터 트래킹하면서 새로운 문제 정의예시 2) A 커머스 플랫폼에서 고객의 이탈률 개선🔎 이번에는 우리가 여러 물건을 한꺼번에 판매하는 커머스 플랫폼의 PM이라고 가정해보자👩‍💻 상황고객들이 물을 장바구니에 추가하지만 1시간 내로 구매하지 않는 고.. 2025. 8. 21.
[스파르타코딩클럽] 5 Whys를 통한 문제 정의 5 Whys💡 5whys를 통한 문제 정의"왜" 라는 질문을 반복함으로 문제의 표면적인 원인에서 점차 심층적인 근본 원인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다. 문제--Why?-->원인--Why?-->원인--Why?-->원인--Why?-->근본 원인 5 whys는 처음 토요타의 생산 방식에서 착안되었다.숫자와 근거로 검증이 가능한 사실로 대답하고, 논리적으로 답변하기 어려워질 때 까지 질문해보자EX | 토요타 5 whys 예시문제 - 기계가 멈췄다원인 - 용접 로봇이 왜 멈췄을까? 회로에 과부하가 걸려 퓨즈가 나갔다. 회로에 과부하가 왜 걸렸을까? 베어링이 충분히 미끄럽지 못했기 때문이다. 베어링이 왜 충분히 미끄럽지 못했을까? .. 2025. 8. 20.
[스파르타코딩클럽] 문제해결능력, 그게 뭘까요? "먹는 칼로리보다 에너지 소모가 적으면 살이 찌듯이,걱정만 하고 행동하지 않으면 걱정이 찐다.문제 해결 능력💡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창조적, 논리적, 비판적 사고를 통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해결하는 능력 - NSC 가 표현한 문제 해결 💡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혹은 논리적으로 방법을 제시' 할 수 있는 능력 💡 문제해결능력은 언제 필요할까?새로운 프로턱트 플래닝 여러 팀 간 커뮤니케이션 조율개발 스콥 결정프로덕트 방향성 결정프로덕트 플래닝 - 제작 - 운영 까지 예상하지 못한 이슈들이 매번 발생한다.실제로 이 문제 해결 능력은 프로덕트 매니저 JD에서도 많이 볼수 있다.그런데 재밌는 것은 이것이 비단 프로덕트 매니저 만의 핵심 역.. 2025. 8. 20.
[스파르타코딩클럽] PM과 PO는 무엇이 다를까? PM과 PO는 무엇이 다를까?💡 프로덕트 매니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학습이 선행되어야 할까?각 조직에 담당하는 Product Manager의 역할을 이해제품 개발의 첫 단추와 같은 제품 전략 수립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요구하는 스킬이 무엇인지를 미리 배우고 연습💡 PM의 정의비전과 전략을 수립하는 사람시장조사와 사용자를 이해하는 사람 - 늘 고객과 맞닿아서 일을 해야한다. 고객의 패인 포인트, 니즈를 파악해야함개발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사람커뮤니케이션 허브를 담당하는 사람성과 측정과 제품을 개선하는 사람데이터 기반 의사결정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시장과 고객을 분석하고 제품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제품의 전반적인 생애주기를 관리하고 이에 따른 고객 니즈를 반영하여 제품의 런칭을 리.. 2025. 8. 19.
화면 설계를 하기 전/중/후에 알아야 할 지식들 2 화면 설계를 하기 전/중/후에 알아야 할 지식들 2▶ 화면 설계 시1. 메인화면 설계 방법① 정보와 서비스 제공의 목적을 파악(지금) 이용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정보와 서비스가 무엇인가?(향후) 어떤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인식되고 싶은가? ② 어떤 정보와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가?③ 해당 정보/서비스를 어떻게 배치해야 1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가? - 내가 왜, 이렇게 화면설계 설계해는 지의 근거제시- 여기에 왜 이런 콘텐츠가 있어야 하는지의 근거제시- 해당 콘텐츠를 그렇게 배치한 근거제시2. 서브화면설계 방법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설계3. 화면설계 시 유의사항- 변경이 발생되면● 삭제하지 말고 히스토리로 남겨라왜? 관련자들이 나중에 딴소리 한다. ● 개정이력을 남기고 관련된 화면ID.. 2025. 4.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