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TUDY/#5 웹기획

웹기획 실전가이드3

by 조반짝 2025. 9. 9.
반응형

기획서란 무엇인가?

기획서는 문서가 아니라  '설계도'다

많은 기획자들이 기획서를 단순 문서로 인식한다.

진정한 기획서는 건축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

 

웹기획서는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기획자의 머릿속에 있는 서비스를 정확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실행 가이드'이다.

이를 위해서는 추상적인 설명이 아닌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메인 메뉴는 상단 고정, 5개 이하의 주요 카테고리로 구성, 각 메뉴 클릭 시 0.3초 내 반응과 같은 구체적인 명세가 필요하다.

 

기획서를 설계도로 접근할 때의 원칙

1. 완전성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상황과 케이스가 빠짐없이 다뤄져야한다.

정상적인 사용 시나리오 뿐만 아니라 오류 상황, 예외 케이스, 엣지 케이스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

 

2. 명확성

해석의 여지가 있는 애매한 표현은 피해야한다.

구체적인 수치와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버튼의 크기는 픽셀단위로, 색상은 컬러코드로, 텍스트는 폰트와 크기까지 명시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3. 일관성

기획서 전체를 통해 같은 개념이나 기능은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되어야한다.

용어 정의부터 시작해서 표기방식, 문서 구조까지 일관된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읽는 사람의 이해를 돕고, 개발 과정에서 혼란을 방지한다.

 

4. 단계별 상세도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개요도 부터 시작해서 각 영역의 세부 설계도까지 점진적으로 상세해져야한다.

 

5. 상호 참조가 가능한 구조

한 부분에서 언급된 기능이나 요소가 다른 부분에서도 나타날 때, 쉽게 연결해서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넘버링 시스템, 상호 링크, 인덱스 등을 적극 활용해야한다.

 

6. 검증 가능성

기획서에서 명시된 내용이 실제로 구현되었는지,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기능과 요소에 대한 '성공 기준'을 명확히 정의해야한다.

 

7. 업데이트 가능한 문서

개발 과정에서 발견되는 기술적 제약이나 새로운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이때도 변경사항은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모든 이해관계자가 최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