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타트업의 서비스기획
● 부족한 점 3가지
1. 요구사항  
2. 기술의 이해 : 전문적이지 못함, 로직을 이해 못함 
3. 예산 : 비용 = 품질 X 속도, 초가성비를 원함
▶ 서비스 기획자가 이를 해결할 수 있다.
1. 요구사항: 제안 X, LEAN > 리뷰해서 반복 / 리뷰: 시각적인예시를 보여주어야함 
2. 기술의 이해 : 학습 기간이다. 작업자가 요청, 의사결정 X / 제시, 리뷰, 설명, 논의, 의견하는 이해의 시간이 필요하다. 
3. 예산 : 작고 품질 높게 서비스를 기획해야한다. 비용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품질을 높여야한다, 
반응형
    
    
    
  MVP(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 실행 기능 제품 
-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서비스 가능성 검증
원대한 아이디어를 기획자는 최소화를 통해 가장 중요한 기능을 생각해야 한다. 
최소화의 전제를 한 후에 그 서비스를 어떻게 쓰는 지에 대한 유저시나리오를 작성한다. 
mvp를 정하는 샘플이 시작되고 그 시나리오가 서비스가 된다. 





● 좋은 서비스란?
사용자의 마음을 얻는 것이 좋은 서비스다.
● 온라인 서비스란?
1. WHO 사용자가 
2. WHY 필요로 할 때 WHEN 
3, WHAT 원하는 것을 
4. WHERE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5. HOW 익숙한 방식으로 
6. 쉽게 
7. 얻도록 하는 것 
● 수익 모델은?
좋은 서비스는 다리와 같다. 
아무리 좋은 서비스도 시작하지 않으면 의미 없다. 
스타트업의 서비스 MVP로 시작하자. 
728x90
    
    
  반응형
    
    
    
  '✎ STUDY > #5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개발자와 쉽게 소통하는 방법 UML (0) | 2025.04.14 | 
|---|---|
| 개발자 출신 주니어 기획자가 PM으로 가는길 (1) | 2025.04.14 | 
| 한국 IT 기획 컨퍼런스 : 세상을 바꾸는 인공지능 (0) | 2025.04.14 | 
| 디스크립션 | 회사에서 규칙을 합의하세요. | 디스크립션의 이해 (0) | 2025.04.11 | 
| 디스크립션 | 디스크립션의 정의 (0) | 2025.04.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