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획자는 설계도를 그리는 사람이다.
서비스 기획자와 개발
서비스 기획자는 전략기획(시장분석, 경쟁사분석, 자사분석)을 통해 도출된 비즈니스의 방향을 토대로 설정된 ‘고객’을 심층분석하는 사람이다.
기획자의 첫 번째 미션은 고객의 니즈를 분석해 가장 사용하기 좋은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기획자가 서비스 개발을 위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화면을 구성하고, 각 화면의 동작과 전환을 확인하는 동시에 서비스의 정책요소 등을 포함하는 문서를 ‘스토리보드’라고 한다. 스토리보드는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참고하는 최종 문서로, 이게 없으면 업무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처럼 비즈니스 전략을 현실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기 때문에 기획자는 멀티 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이때 멀티 플레이어 기획자가 되는 첫걸음은 개발을 이해하는 것이다.
내가 작성한 기획서의 요구사항들이 어떤 개발과정을 거치고 다른 서비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미리 파악하고 있어야 하고,
개발자가 개발하기 어렵다고 말한다면 다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2. 기획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5가지 개발용어
‘개발자로서의 개발’이 아닌 ‘기획을 잘하기 위한 개발’ ‘개발자와 원활한 소통을 위한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기초가 되는 개발용어는 크게 5가지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DB, API, 그리고 백오피스라는 용어의 뜻만 정확히 이해하고 있으면 개발자와의 회의에서 최소한 헤맬 일은 없을 것이다.
클라이언트, 서버, DB
- 클라이언트: 조회를 요청하는 고객의 요구사항은 ‘클라이언트(①)’를 통해서만 전달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행하는 일종의 비서 역할, 집배원 역할을 하며, 고객의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와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는다.
- 서버: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받아 DB에 저장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 DB(데이터베이스): 서비스가 운영되는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제공의 주체다.
- 프론트엔드: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하는 앱 또는 웹
- 백엔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 또는 서버를 운영하는 영역
- 백오피스(어드민, 관리자 페이지)
상품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운영되는 별도의 시스템이 있다.
제품을 판매할 셀러(협력사, 파트너)가 직접 상품 정보를 입력하고 재고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백오피스는 ‘셀러 오피스’라고도 한다.
백오피스에서는 정보의 ‘등록(쓰기)’ ‘저장’ ‘조회(읽기)’의 행위가 일어난다. 백오피스도 구조상 프론트엔드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를 가진다.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클라이언트-서버로 이어지는 제공방식은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모든 요청들을 일일이 응답해 줘야한다. 이 요청들의 체계를 누군가 조정해준다면 부하가 줄어들 것이다.
API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서버와 서버 간 소통 시 ‘어떤 정보를 요청하고 어떤 데이터를 전달할지’에 대한 사전협의서라고 할 수 있다. 자사 서비스 내에 타사 서비스의 일부(지도 앱, 포털 검색, 로그인 등)를 탑재할 때도 API가 사용된다. API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서버와 서버 간 소통 시 ‘어떤 정보를 요청하고 어떤 데이터를 전달할지’에 대한 사전협의서라고 할 수 있다. 자사 서비스 내에 타사 서비스의 일부(지도 앱, 포털 검색, 로그인 등)를 탑재할 때도 API가 사용된다.
3. UX와 UI, 한 방에 정리하는 방법
UX디자인 VS UI디자인
UX : User Experience(사용자 경험)의 줄임말로, 디지털 서비스뿐만 아니라 음향기기, 가전제품, 자동차 등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경험’을 지칭. 나아가 이를 개선하는 작업까지 포함
UI : 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줄임말로, 서비스가 구현되는 실제 대상을 의미.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X의 방법론을 도입한 UX/UI가 성행
[UX디자인과 UI디자인을 제사에 비유]
- UI : 잘 말린 대추, 타지 않게 구워진 생선, 적정 두께의 육전, 선홍빛이 도는 예쁜 사과를 준비해야겠군.
- UX : 1열에는 밥과 국, 2열에는 구이와 전, 5열에는 떡이나 강정, 과일 순서로 놓아야 해.
[카카오톡 예]
• UI : 폰트, 컬러, 레이아웃 등
• UX : 친구 검색, 친구 추가, 친구 대화, 카카오뷰 등
정리를 해보면,
UI는 사용자가 서비스 화면에서 마주하는 디자인과 레이아웃 등을 말한다.
폰트나 색상, 줄 간격 등의 정적인 요소부터 반응형 디자인, 애니메이션 효과 등의 동적인 요소까지 모두 포함한다.
UX는 서비스 내 사용자의 행위를 유도하는 모든 경험을 말한다.
동시에 서비스에 어떤 정보와 기능을 담을지 선택하고 이러한 정보와 기능이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고 유용함’으로 와닿을 수 있는 경험을 기획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 STUDY > #5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기획자의 직무 이해하기 (0) | 2025.02.25 |
---|---|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기획 VS 마케팅 기획 (0) | 2025.02.25 |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 VS 비즈니스 기획 (0) | 2025.02.24 |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자의 조건 (0) | 2025.02.23 |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자? (1)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