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TUDY/#5 웹기획

웹기획 실전가이드 15

by 조반짝 2025. 10. 21.
반응형

구조 설계의 기술


IA(Information Architecture) : 정보는 구조다

정보 아키텍처는 웹기획의 핵심 중의 핵심이다.

IA는 사용자가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보이지 않는 설계'이다.

 

정보아키텍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본질'을 파악해야한다.

웹에서 정보는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라 사용장의 목적과 맥락 속에서 갖는다.

IA 설계시 에는 정보 자체보다는 사용자가 정보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 가에 집중

💡 효과적인 IA의 원칙

1. 사용자의 멘탈 모델 반영

사용자는 새로운 웹사이트를 접할 때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가 어디에 있을 지 예측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기대를 무시하고 독창적인 분류를 만들면 오히려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

 

2. 계층 구조의 일관성

정보의 분류 기준이 각 레벨에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ex. 1차 분류를 상품종류로 했다면 2차 분류도 상품의 속성(브랜드, 가격대, 색상) 으로 해야하고, 갑자기 인기도나 신상품여부와 같은 다른 기준을 섞어서는 안된다.

 

3. 적절한 깊이와 너비

정보구조가 너무 깊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도달하기까지 너무 많은 클릭이 필요하고 너무 얕으면 너무 많은 선택지가 제시되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4단계의 깊이와 7±2개의 너비가 적절하다고 알려져있지만,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서비스 특성과 사용자 니즈에따라 조정

 

4. 카드소팅(Card sorting)

실제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나 기능을 적힌 카드를 주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분류해보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실제로 어떤 기준으로 정보를 분류하는지, 어떤 것들을 함께 묶어서 생각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5. 트리 테스트

완성된 정보 구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특정 정보를 찾아보도록 요청하는 테스트다.

이를 통해 설계한 IA가 실제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지, 어떤 부분에서 헤매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 IA 설계에서 주의해야 할 것

- 조직 내부의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

- 검색과 브라우징의 균형

💡 모바일 환경에서의 IA  고려사항

- 햄버거 메뉴, 탭구조, 아코디언 메뉴 등 모바일에 최적화된 네비게이션 패턴을 활용

 

💡 IA 설계의 최종목표

사용자가 생각하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하는 것

 

728x90
반응형

'✎ STUDY > #5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기획 실전가이드 16  (0) 2025.10.21
웹기획 실전가이드14  (0) 2025.10.13
웹기획 실전가이드 13  (0) 2025.10.13
웹기획 실전가이드 12  (1) 2025.10.10
웹기획 실전가이드11  (1) 2025.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