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5 웹기획

웹기획 실전가이드6

조반짝 2025. 9. 12. 13:27
반응형

좋은 기획서의 조건 : 명확성, 논리성, 실행 가능성

1. 명확성

기획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

명확성이란 읽는 사람이 기획자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모호한 표현을 피하고 구체적인 측정 가능한 용어를 사용해야한다.

 

ex. 3클릭 이내로 원하는 기능에 접근 가능한 메뉴구조, 평균 학습 시간 5분이내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 팁은 용의정의성을 만드는 것

프로젝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문 용어나 다의적 해석이 가능한 단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정의해두는 것이다.

 

2. 논리성

논리성은 기획서의 신뢰성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논리적인 기획서는 각 기능과 결정의 근거가 명확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일관성을 가진다.

"왜 이 기능이 필요한가?", "이 기능이 사용자와 비즈니스에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가"에 대한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해야한다.

 

문제-해결책-효과

논리성 확보를 위해 문제-해결책-효과의 구조를 명확해야한다.

현재 어떤 문제가 있는 지 데이터와 사실을 바탕으로 제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설명하며, 그 방안이 가져올 예상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3. 실행가능성

기획서가 실제 프로젝트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실행가능성을 고려한다는 것은 기술적 제약, 예산 제약, 시간 제약, 인력 제약 등을 모두 감안하여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실행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 단계별 접근법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체 로드맵을 제시하되, 이를 실현 가능한 단위로 나누어 단계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 단계마다 명확한 목표와 성공 기준을 설정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조건을 명시해야한다.

 

- 대안 제시

하나의 완벽한 솔루션만 제시하기보다는, 여러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각각의 장단점, 구현 난이도, 예상 효과등을 비교 분석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업데이트 가능성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새로운 정보가 나오거나 상황이 변할 때 쉽게 수정하고 보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모듈화된 구성과 버전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5. 검증 가능성

기획서에 제시된 내용이 실제로 구현되었는지,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기능과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측정방법과 성공 기준을 명시해야한다.

 

6. 스토리텔링

기술적 명세의 나열이 아니라, 사용자의 경험과 비즈니스 가치 창출이라는 하나의 일관된 스토리를 담고 있어야한다.

 

결국 좋은 기획서는 기획자의 머릿속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어주는 '번역기'역할을 한다.

명확성으로 오해를 방지하고, 논리성으로 신뢰를 얻으며, 실행 가능성으로 실제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