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5 웹기획
웹기획자가 알아야 할 필수 용어 사전: PM, UX/UI, IA 등 핵심 개념 정리
조반짝
2025. 8. 28. 17:34
반응형
웹기획자가 알아야 할 필수 용어 사전: PM, UX/UI, IA 등 핵심 개념 정리
웹기획자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반적인 기획을 담당하는 직무입니다.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 다양한 직무의 사람들과 소통하며 프로젝트를 이끌어 나가야 하므로, 각 분야의 전문 용어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웹기획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을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 프로젝트 관리 및 역할 관련 용어
1.1 PM (Product Manager, 프로덕트 매니저)
- 정의: 제품의 기획부터 출시, 운영까지 전반적인 과정을 책임지는 사람. 시장 분석, 사용자 요구사항 파악, 제품 전략 수립 등을 담당합니다.
- 웹기획자와의 관계: 넓은 의미에서 웹기획자는 PM의 역할 일부를 수행하며, 특히 웹 서비스를 중심으로 기획 업무를 담당합니다.
1.2 PL (Project Leader, 프로젝트 리더)
- 정의: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을 위해 팀을 이끌고 관리하는 사람. 일정 관리, 자원 배분, 팀원 간의 소통을 조율합니다.
1.3 PO (Product Owner, 프로덕트 오너)
- 정의: 애자일(Agile) 방법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관리하며 제품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2. 사용자 경험 및 디자인 관련 용어
2.1 UX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 정의: 사용자가 특정 제품, 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총체적인 경험. 사용 편의성, 유용성, 만족도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입니다.
- 핵심: '사용자가 어떻게 느낄까?'에 대한 고민이 중요합니다.
2.2 UI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 정의: 사용자가 제품을 보고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각적, 물리적 매개체. 버튼, 아이콘, 레이아웃, 컬러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 핵심: '사용자에게 어떻게 보여지고 조작될까?'에 대한 디자인입니다.
2.3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정의: 사용자가 그래픽(아이콘, 이미지 등)을 통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앱과 웹 서비스가 GUI를 기반으로 합니다.
2.4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설계)
- 정의: 서비스 내의 정보를 구조화하고 분류하여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입니다. 사이트맵, 메뉴 구조 등이 IA의 결과물입니다.
3. 문서 작성 및 개발 관련 용어
3.1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 정의: 서비스의 뼈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설계도. 기능 요소들의 배치와 흐름을 간결하게 표현하며, 디자인 요소는 최소화합니다.
3.2 스토리보드 (Storyboard)
- 정의: 와이어프레임에 상세한 기능 설명, UI 디자인, 콘텐츠, 개발 시 고려사항 등을 추가하여 작성한 문서.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소통을 위한 핵심 문서입니다.
3.3 백엔드 (Backend)
- 정의: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을 다루는 기술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프론트엔드와 소통하여 서비스를 운영합니다.
3.4 프론트엔드 (Frontend)
- 정의: 사용자가 직접 보고 상호 작용하는 웹 페이지의 화면을 만드는 기술 영역. HTML, CSS, JavaScript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3.5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정의: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 및 규약의 집합. 웹기획자는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을 위해 API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기타 용어
- 퍼소나 (Persona): 특정 서비스의 가상 사용자 모델. 성별, 나이, 직업, 라이프스타일 등을 구체화하여 기획의 방향성을 잡는 데 활용됩니다.
- MVP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핵심 기능만을 담아 시장에 빠르게 출시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기능을 확장해 나가는 개발 방식입니다.
-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 성과 지표. 목표 달성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웹기획에서는 사용자 수, 전환율, 체류 시간 등이 KPI가 될 수 있습니다.
5. 결론
웹기획자는 이처럼 다양한 용어들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관 부서와 원활하게 소통해야 합니다. 이 용어들을 숙지하고 실무에 적용한다면 더욱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지속적인 학습과 경험을 통해 용어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