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5 웹기획

[서비스 기획] 서비스 기획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서비스 기획자?

조반짝 2025. 2. 21. 13:49
728x90
반응형

1. 서비스 기획자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요?

서비스 기획자?
비즈니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기술에 기반한 제품 설계를 하는 사람이자 그 제품의 설계를 위해 범위를 정하고 서비스를 구현되는데 필요한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사람

서비스 기획자 3가지 키워드
- 비즈니스
- IT기술
- 스토리보드

2. 서비스 기획자에게 어울리는 전공과 성향?
서비스 기획자에 국한된 전공이나 이런 사람만이 서비스 기획자가 될 수 있다는 기준은 사실 없다.
다만 선호되는 성향은 있을 수 있다.
우선 디자인(산업디자인, 시각디자인)이나 컴퓨터공학(개발), 또는 경영학(관련 융합전공 포함)을 전공했다면 서비스 기획 업무를 하는데 수월할 수 있다.
그리고 굳이 어울리지 않는 사람을 꼽으라면 성격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귀차니즘과 거리가 먼 사람이어야 한다.
기획자로서 이러한 것들을 정리하지 않고 그대로 디자인이나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 파트너에게 전달하기만 한다면, 이들은 메신저와 다를 바 없다.
기획자로서 이러한 것들을 정리하지 않고 그대로 디자인이나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 파트너에게 전달하기만 한다면, 이들은 메신저와 다를 바 없습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기획자의 시각과 서비스의 구현 방향이 담긴 명문화된 문서를 작성해 주는 것이 중요한 만큼 자신이 꼭 부지런하지 않더라도 부지런한 척, 부지런하게 되어야 하는 직무이기도 하다.

반응형


3.서비스 기획자는 피그마, XD, 프로토파이, SQL 정도는 알아야 할까?
사내에서 서비스 기획의 커뮤니케이션 툴로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파워포인트’가 압도적이다
(최근에는 ‘피그마’가 기획자들 사이에서 대세)
또한 기획자의 데이터분석 역량이 중요해진만큼 SQL을 다룰 줄 아는 것은 필요하다.

4. 서비스 기획자 관련 자격증
서비스 기획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격증으로는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가 있다.
 사업관리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시험 중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시험이기도 하거니와 다발성 프로젝트를 맡게 되는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루틴을 보았을 때도 꽤 유용한 자격증이다.
그 외에 GA(Google Analytics), ADsP(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 등이 있다.

5. 서비스 기획자 추천하는 스펙
창업은 자기분석 및 환경분석을 통한 아이템 선정, 고객 개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사업타당성 검토, 자금계획 수립 및 홍보와 마케팅전략 수립, 수익모델 개발 등의 과정을 내포하게 된다. 
이는 서비스 기획자가 서비스의 시작과 끝, 이후 운영까지 담당하는 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다.
최근 유행하고 있는 스마트스토어는 물론 유튜버,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부업 또는 사이드 프로젝트 등을 통해 가장 작은 시도부터 먼저 진행해 보기를 권하고 싶다.
‘실제 서비스를 론칭’해 보는 것
서비스 론칭의 경험은 서비스 기획을 위한 방법론과 나의 핵심고객을 누구로 정의 내릴지, 정의 내린 고객에게 특화된 서비스 메뉴의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어떤 툴을 활용해 프로토타이핑을 할지 등에 대한 실무 기획자와 대등한 경험값을 가지게 된다.

반응형